본문 바로가기
MONEY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이드] 신청 조건부터 혜택까지 총정리

by 뿌링이 2025. 4.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알아두면 삶이 더 풍성해지는 복지와 잡학의 모든 것! 유익한 지식을 공부하여 나누며 세상을 더 스마트하게 즐기고 싶은 알쓸복잡 뿌링입니다. 청년 시기의 소득은 적지만,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자산은 꼭 필요하죠. 오늘 소개 드릴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정부가 저소득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직접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특히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는 것만으로 정부 지원금까지 함께 쌓이기 때문에, 짧은 기간 내에 목돈 마련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단순한 저축을 넘어 정부 매칭 지원금을 통해 2배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 취업 초기, 사회생활 초반인 청년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혜택이기에 이번 포스팅을 준비했으니 해당 되시는 분들은 잘 읽어보시고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 근로 청년이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로 지원금을 매칭해주는 자산 형성 지원 제도입니다. 3년간 꾸준히 저축을 유지하면 최대 1,440만 원까지 모을 수 있습니다.

 

 

 

신청자격 및 조건

 

1. 연령 요건

- 일반 청년 :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차상위계층 청년 : 만 15세 이상 ~ 만 39세 이하

 

2. 소득 요건

- 일반 청년 : 월 근로·사업소득 50만 원 초과 ~ 250만 원 이하

- 차상위계층 청년 : 월 근로·사업소득 10만 원 이상

 

3. 가구 소득 기준

- 일반 청년 : 가구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 차상위계층 청년 : 가구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지원혜택

 

1. 본인 저축액

 - 매월 10만 원 이상 (최대 50만 원까지 가능)

 

2. 정부 지원금

- 일반 청년: 매월 10만 원 매칭 (3년간 최대 360만 원)

- 차상위계층 청년: 매월 30만 원 매칭 (3년간 최대 1,080만 원)

 

3. 총 수령 가능 금액

- 일반 청년: 최대 720만 원 (본인 저축액 360만 원 + 정부 지원금 360만 원)

- 차상위계층 청년: 최대 1,440만 원 (본인 저축액 360만 원 + 정부 지원금 1,080만 원)

 

 

 

 

신청기간 및 방법

 

1. 신청 기간

- 2025년 5월 2일(금) ~ 5월 16일(금)

 

2.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

- 복지로 온라인신청 경로 
복지로 로그인 > 서비스 신청 > 복지서비스 신청 > 복지급여 신청 > 저소득층 > 자산형성지원(청년내일저축계좌)

- 오프라인 신청 : 거주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3. 필요 서류

- 신분증

- 소득 증빙 서류 (재직증명서, 급여명세서 등)

- 가구원 소득 확인 서류

 

 

 

 

유의사항

 

- 3년 동안 근로활동을 지속해야 하며, 매년 10시간 이상의 교육 이수와 자금사용계획서 제출이 필요합니다.

- 중도 해지 시 정부 지원금은 전액 환수되며, 본인 저축액만 반환됩니다.

- 청년희망키움통장, 청년저축계좌 등 기존 유사 계좌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중복 가입이 불가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꼭 챙겨야 하는 이유

- 단순 저축보다 2배 이상의 자산을 만들 수 있다.

- 정부 지원금을 통해 목돈 마련이 가능하다.

- 중도에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3년 만에 수천만 원의 자산을 쌓을 수 있다.

- 자립 기반이 필요한 청년기에 가장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