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복잡

청년 마음건강지원사업 내용 및 신청 방법

by 뿌링이 2023. 6. 24.
반응형

오늘은 몸과 마음이 모두 지치고 있는 청년들을 위해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청년 마음건강지원사업에 대한 내용과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의 심리정서 지원, 건강성 회복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심리적 문제 예방을 통한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 촉진을 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청년 마음건강지원사업 내용

청년 마음건강지원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청년의 심리 건강 회복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건강한 사회 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돕는 지원 사업으로 전문심리상담 등 맞춤형 서비스(10회)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 사전 및 사후검사(90분) 각 1회
  • 전문심리상담서비스 제공(1:1 원칙, 50분) 총 8회
  • 종결상담 1회(마지막 상담 시 제공)

청년 마음건강지원사업은 제공인력 기준에 따라 가격을 차등하고 있으며, 서비스 유형별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 A형 : 서비스가격 60만 원(정부지원금 54만 원, 본인부담금 6만 원)
  • B형 : 서비스가격 70만 원(정부지원금 63만 원, 본인부담금 7만 원)
  • 자립준비청년은 서비스 유형에 관계없이 본인부담금이 면제되고, 서비스 전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A형의 경우 정신건강전문요원, 임상심리사, 전문상담교사, 청소년상담사, 상담분야 전공자를 기준으로 실무경력으로 학사 2년, 석사 1년이 있는 자이고, B형의 경우 학사 4년, 석사 3년, 박사 1년이 있는 자입니다.

 

서비스 기간은 기본 3개월(10회)이 원칙이며, 재판정이 필요한 경우 최대 12개월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또한, 서비스는 월 4회, 주 1회 제공하며 서비스 개시일로부터 연속해서 제공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용자가 원할 경우에는 제공기관과 합의 과정을 거쳐 서비스 제공 횟수나 시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단, 제공기관과 별도 계약이 필요하며 추가 부담은 본인부담입니다.

 

청년 마음건강지원사업 신청 대상

청년 마음건강지원사업 신청 대상으로 출생연도 기준으로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하며, 소득 및 재산기준은 없습니다. 2023년 기준 1989~2004년에 출생한 자 모두가 지원 대상입니다. 하지만, 우선 지원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 1순위 : 자립준비청년, 보호연장아동
  • 2순위 :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연계 의뢰한 청년

선정 기준은 지자체 담당자가 대상자의 자격기준 해당여부를 확인하여 예산 범위 내에서 이용자를 선정합니다. 3순위는 일반 청년에 해당하고, 1순위에 해당하는 대상은 본인부담금이 면제되고, 2,3순위에 해당하는 대상은 10% 본인부담금을 책정하고 있습니다.

청년 마음건강지원사업 신청 방법

청년 마음건강지원사업 신청 방법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도 가능하고, 주민등록상 거주지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본인, 친족, 법정대리인, 담당공무원이 신청을 할 수 있으며, 친족의 경우 배우자,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이 해당됩니다.

 

신청기간은 연중 수시로 모집을 하고 있으나, 지역 여건에 따라 분기별, 반기별로 모집을 하는 곳이 있습니다. 신청 서류는 사회보장급여 신청서, 사회서비스 이용자 준수사항 안내확인 동의서가 필요하고, 우선지원 대상자인 경우, 행복이음 또는 기관발급 확인서를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 마음건강지원사업 신청 우선순위로 자립준비청년(만 18세 이상 만기 퇴소 또는 연장보호가 종료된 자) 및 보호연장아동(아동복지법 제16조의 3에 따라 보호기간이 연장된 자)이 1순위입니다. 신청에 앞서 국민행복카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는 신용, 체크 등 금융 기능이 있는 카드입니다. 국가가 제공하는 다양한 바우처 서비스를 한 장의 카드로 통합 이용이 가능한 카드입니다. 청년 마음건강지원사업에 1순위가 아니라면 본인부담금 10%가 발생하기 때문에 발급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부 바우처 이용자가 아니어도 누구나 신청 및 발급이 가능하고, 바우처 서비스 이용 종료 후에도 금융 기능은 있으므로 계속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Pay 결재는 불가합니다. 개인적으로 카드사 영업점,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지만, 지자체에서 마음건강지원사업 서비스 신청 시 같이 신청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청년들의 심리 건강 회복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건강한 사회 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돕는 마음건강지원사업에 대한 내용과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울증, 번아웃 등은 언제 어떻게 찾아올지 모르니 미리 알아놓고 대비책을 세우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