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복잡

12월 14일부터 시행되는 대구·경북 대중교통 광역환승제, 배차 간격, 환승 요금 및 노선도 알아보기

by 뿌링이 2024. 11. 22.
반응형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는 오는 12월 14일부터 대중교통 광역환승제를 시행합니다. 이 제도는 대구와 경북 8개 시·군(김천, 구미, 영천, 경산, 청도, 고령, 성주, 칠곡)을 연계하여 시내버스, 농어촌버스, 대구 도시철도, 대구권 광역철도 간의 환승을 지원합니다.

 

 

 

 

대구경북 대중교통 광역환승제 요금체계


  기본 요금

  • 일반 : 교통카드 및 현금 모두 1,500원
  • 청소년 : 교통카드 850원, 현금 1,200원
  • 어린이 : 교통카드 400원, 현금 800원

※ 청소년과 어린이가 일반 교통카드를 사용할 경우 일반 요금이 부과됩니다.

 

# 환승 혜택

  • 하차 후 30분 이내에 최대 2회까지 무료 환승이 가능합니다.
  • 배차 간격이 20분 이내인 경우 30분 이내 환승이 적용됩니다.
  • 고령~서부정류장 구간은 시외 요금(3,700원)이 적용됩니다. 
  • 구미~대구 구간은 2,300원이며, 기존 무궁화호 요금(3,000원)보다 저렴합니다. 
  •  

출처 : 구미시 인스타그램

 

 

 

대구경북 대중교통 광역철도 노선도

 

 

 

대구권 광역철도(대경선)는 구미, 대구, 경산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주요 정차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코레일

 

 

12월 14일에는 구미~사곡~왜관~서대구~대구~동대구~경산 역이며

추후 북삼, 왜관, 원대(신설역)이 약 27년까지 개통될 예정입니다. 달성공원역과 환승가능 예정이고,

서문시장과 가까워 경북 주민들이 대구 서문시장 방문 접근성이 높아져 기대효과가 꽤 크다고 예상됩니다.

 

대구 지하철 노선도 안에 대경선도 곧 포함되지 않을까요

 

 

대구광역철도 열차시간표


    #  운행 시간 및 소요 시간

  • 오전 5시부터 자정까지 운행됩니다.
  • 출퇴근 시간대(오전 7시 ~ 9시 / 오후 5시 ~ 7시)에는 15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그 외 시간대에는 20분 간격으로 운행됩니다.
  • 구미역에서 대구역까지 약 27분이 소요됩니다.

 

 

 

대구광역철도 및 기존 기차 비교 및 기대효과

 

대구광역철도는 대구와 경북 주요 도시(구미, 왜관, 경산 등)를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지역 교통망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교통수단입니다. 주요 기대효과는 크게 교통 편의성, 경제적 효과, 환경적 영향으로 나뉩니다.

 

항목 대구광역철도 기존 기차(무궁화호 등)
운행 범위 대구-경북 지역 (구미~경산) 전국 주요 도시 간 연결
운행 간격 출퇴근 시간대 15분, 평상시 20분 간격 보통 1시간~2시간 간격 운행
요금 저렴 (구미~대구 약 2,300원) 상대적으로 높음 (무궁화호 약 3,000원)
정차역 수 대구와 경북 주요 도시 정차 (7개 역) 주요 도시 중심으로 소수 정차
목적 광역 생활권 연결 (통근·통학 중심) 중·장거리 이동 중심

 

 

1. 교통 편의성 향상

  • 대중교통 접근성 확대 : 대구와 경북(구미, 왜관, 경산 등)을 연결해 지역 간 이동이 더욱 간편해집니다.
  • 출퇴근 시간 단축 : 출퇴근 시간대 15분 간격 운행으로 통근자들에게 큰 편의를 제공합니다.
  • 환승 편리성 : 대구 도시철도와 환승이 가능하여 대중교통 간의 연결성이 강화됩니다.

2. 경제적 효과

  • 교통비 절감: 기존 기차나 자가용 이용 대비 낮은 비용으로 경제적 부담 감소.
  • 지역 경제 활성화: 대구와 경북 주요 도시 간 물류 및 인적 교류가 활발해져 상권과 경제가 성장할 것으로 기대.

3. 환경적 효과

  • 탄소 배출 감소: 자가용 이용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늘려 환경 친화적 교통 체계 구축.
  • 교통 혼잡 완화: 도로 이용 차량 감소로 도시 내 교통 체증 완화.

 

 

 

결론적으로, 대구광역철도는 대구와 경북의 광역 생활권을 연결하며, 출퇴근 및 통학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환경 보호에 기여할 중요한 교통수단입니다. 저렴한 요금과 높은 운행 빈도는 시민들의 일상에 큰 편리함을 제공하고, 지역 간 균형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